물생활을 하다보면 한번쯤은 어항속의 물이 뿌옇게 되는 백탁 현상을 접하게 됩니다. 주로 어항 세팅 초기때나 대량 환수 후에 이런 백탁현상을 볼 수 있습니다.
분명 깨끗한 물을 넣었는데도 불구 하고 백탁이 왜 왔는지 몰라서 다시 환수를 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그렇다면 왜 이런 백탁현상이 일어나는 것일까요?
백탁현상이 생기는 원인은 대체적으로 아래와 같습니다.
1. 바닥재의 분진
바닥재 청소작업을 하거나 새로운 소일 덮방, 수초 심기 등의 작업으로 바닥재의 분진 때문에 생기는 백탁현상으로 어항속 생물에게는 별다른 피해를 주지 않습니다. 여과력에 따라서 몇시간에서 하루 이내에 분진이 잡히게 되며 크게 신경쓰지 않아도 되는 백탁 현상입니다.
2. 대량 환수
정기적으로 해주던 환수에서는 백탁이 일어나지 않았는데 어느날 갑자기 환수 후에 백탁이 일어났다면 기존보다 더 많은 환수가 이루어져 박테리아 유실로 인한 백탁현상이 일어나게 됩니다.
어항속의 여과시스템에는 물리적 여과와 생물학적인 여과로 나뉠 수 있습니다.
물리적 여과는 여과기를 통해서 어항속의 부유물을 걸러내는 여과이며 생물학적인 여과는 박테리아를 활용한 질소 순환 사이클을 생성시킨 후 배설물 및 부유물을 분해작용으로 물을 정화 시킵니다.
어항속의 각종 유기물들을 헤테로트로픽이라는 박테리아가 먹고 분해 하면서 암모니아(NH3)를 배출하게 됩니다.
이렇게 생성된 암모니아(NH3)를 니트로소머나스라는 아질산균이 질산염(NO3)으로 분해하게 됩니다.
질산염(NO3)은 수초(영양분으로 질산염 흡수)나 환수를 통해서 배출하게 되는것이 질소 순환 사이클의 원리입니다.
묵힌 수돗물이나 정수기물에는 생물학적 여과작용을 하는 박테리아균이 없습니다. 박테리아균에 의한 질소 순환 사이클이 완성될때까지 환수를 자제하며 매일 소량의 박테리아제를 투여해주어야 됩니다.
헤테로트로픽 박테리아와 니트로소머나스 박테리아는 호기성 박테리아로 산소를 좋아하는 박테리아입니다. 콩돌로 충분한 산소 공급과 박테리아제를 투여하게 되면 백탁이 서시히 사라지게 됩니다.
3. 과밀로 인한 개체수 증가
개체수의 증가로 인한 과밀이 오게되면 먹이 및 배설물도 증가되어 암모니아와 아질산염이 증가하게 됩니다. 질소 순환 사이클 과정에서 박테리아균이 과다 증식하여 백탁이 오게됩니다.
이럴 경우 여과능력을 높혀든지 개체수를 줄여주어야 합니다.
4. 물깨짐
물깨짐에는 여러 가지 이유가 있을수도 있지만 초보때 먹이를 어느 정도로 주어야 할지 몰라서 먹이를 정량보다 많이 주는 경우가 있습니다. 먹이의 과다투여로 인한 질산화 박테리아의 과다번식으로 부영양화가 진행되어 백탁이 오는 현상입니다. 이런 경우 먹이 급여량을 줄여주시고 사이펀이나 스포이드로 사료찌꺼기를 걷어내고 소량 환수 해주시면 됩니다. 먹이 급여는 하루 2번정도 5분내 다 먹을 수 있을 만큼 주시면 됩니다.
물생활은 기다림의 미학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초기 물잡이 부터 기다리기 시작하죠. 이렇게 기다리다 보면 자연스럽게 해결되기도 합니다.
5. 스펀지 여과기 교체 및 필터교체
스펀지 여과기의 스펀지는 여과필터 성능 외에도 박테리아가 살아가는 서식지 역할도 합니다. 스펀지 여과기를 교체하게 되면 각종 박테리아의 부재로 백탁이 오게 됩니다. 여과기를 새것으로 교체하더라도 새필터와 사용하던 필터를 혼용하면서 시간차를 두고 교체하셔야 됩니다.
백탁이 왔다고 해서 어항속 생물에게 당장의 피해를 주지는 않습니다. 하지만 백탁이 생겼다는 것은 어항속의 환경이 변화했다는 뜻이므로 적절한 조치로 살아갈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게 좋습니다.
물생활엔 정답이 없는것 같습니다. 각자의 방식으로 즐겁게 취미생활을 하시는게 정답인것 같습니다.
오늘도 즐거운 물생활하세요. 도움이 되셨다면 공감(♡)버튼 한번씩 눌러주시면 블로그 운영에 큰 힘이 됩니다.
'물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스펀지 여과기 청소방법 (0) | 2020.02.18 |
---|---|
구피의 임신 기간 및 증상 (0) | 2019.12.03 |
아이들 정서에 도움이 되는 열대어 키우기 (2) | 2019.12.01 |
어항 히터기 구매 팁 (0) | 2019.11.29 |
어항 여과기 종류 (0) | 2019.11.28 |
댓글